본문 바로가기
설계

건축 사무소 에서 초반에 확인 하는 서류 종류.

by Doctor_W 2022. 10. 24.
728x90
반응형

1. 토지대장

주로 정부24 사이트에서 검색하여 토지에 대한 권리 분석을 주로 한다.

의뢰인들이 가끔 토지대장 조차 확인 안하고 의뢰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토지대장 갑구는 토지 소유권에 관한 사항, 을구는 소유권 이외의 권리에 관한 사항이 적혀 있다.

 

 

2. 일반건축물 대장

그 건축물의 이력을 확인 할 수 있는 문서. 즉, 경력기술서 같은 존재. 아니면, 등본 같은 존재.

 

주로 새움터 사이트에서 검색을 많이 한다.

새움터만 주로 이용하시는 분이 많다. 왜냐하면, 새움터에서 모든 등록이 이루어지기에.

또한, 똑같은 건축물 대장이라 하더라도, 정부24에서 보는 문서와 새움터의 문서가 다른 경우가 종종 있다.

정부24에서 보는 정보는 새움터 보다는 업데이트가 느린경우가 종종 있다.

최신 정보 및 정확하 정보를 보고 싶다면 새움터를 이용하는 편이 좋다.

새움터는 일종의 건축관련된 모든 행정시스템을 관장하는 사이트라고 보면 된다.

 

3. 지적도 등본

토지 경계에 대한 내용이 확실 한지 얼마큼 분할이 되어 있는지를 확인 하기 위한 서류.

보통 지적도에서 CAD로 다운 받아 이를 기반으로 설계를 진행한다.

당연한, 애기 같지만, 지적도 조차 확인 안하고 건축 설계를 진행한다는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보통, 정부24에서 확인한다. 

 

4. 토지 이용계획 확인서

내가 건축할 토지가 어떤 형태 인지, 정부가 이 토지에 대한 이용을 어떻게 할 것인지 보는 서류.

 

5. 건축물 등기.

6. 도시계획확인원

주로 토지e음 사이트를 이용한다.

내가 건축하고자 하는 토지의 지목, 면적, 개별공시지가 등 상세한 정보가 모두 나온다.

또한, 지역, 지구 등 안에서의 행위제한 내용 그 내용에 대한 설명까지 나오니 보기 좋다.

 

7. 건축물현황도(세움터)

 

8. 건축물현황도면 (직접 신청. 시청)

 

대지사용승낙서를 받는 이유

1. 타인 소유의 토지에 건물을 건축하는등 개발사업 진행하기 위해. 소유주의 승낙
2. '지상권'이란 타인의 토지에 건물, 기타 공작물이나 수목을 소유하기 위하여 그 토지를 사용할 수 있는 물권을 의미한다.
3. 토지사용승낙서를 작성해주었다고 해서 이를 가지고 조합이나 업무대행사가 구체적인 권리를 취득하거나 뭘 어찌할 수는 없고, 다만 개발사업 진행에 있어 각종 인허가만을 받을 수 있을 뿐이다.

728x90
반응형